우수박사학위논문상(2012). 대한가정학회
- 연구실적
<연구논문>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2025. 공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KCI)
-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infants due to parental caregiving anxiety and parents’ parenting knowled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2025. 공동).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SOPUS)
- 어머니의 자기성찰과 모-자녀 관계 이해를 위한 북리딩 참여 경험 연구(2024. 공동). 한국놀이치료학회지(KCI)
-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사회적 지지와 정서지능을 매개로 역기능적 진로사고에 미치는 영향(2024. 공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KCI)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지지와 대인관계역량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2023. 공동). 한국인간발달연구(KCI)
- 코로나 시기 영유아의 성별 및 부모의 부모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발달의 차이(2023. 공동).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KCI)
- 유아동기 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온라인 부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2023. 공동). 한국놀이치료학회지(KCI)
- ARC 모델 기반 놀이집단상담프로그램이 아동학대를 경험한 공동생활가정 아동의 정서인식 및 표현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2023. 공동).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KCI)
- 학령초기 아동의 자아강도와 사회불안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2023. 공동).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지(KCI)
- 학령초기 아동-어머니의 애착안정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강도의 매개효과(2023. 공동). 아동과 권리(KCI)
-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자존감 향상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현실치료 기반 성인집단놀이치료의 효과(2023. 공동).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KCI)
- 성인의 우울감 및 불안감 감소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온라인 단기 인지행동 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온라인 상담과 대면 상담의 비교를 중심으로-(2022. 공동).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KCI)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응 심리지원을 위한 한국상담학회 긴급 전화상담 및 인터넷 게시판 상담의 운영 내용 분석(2021. 공동).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KCI)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응 심리지원을 위한 한국상담학회 긴급 전화상담의 상담자 참여 경험 연구(2021. 공동).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KCI)
-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go Func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ffecting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Early School Age: Analysis by Grade Level Considering Sustainability of Academic Motivation (2020. 공동). Sustainability(SSCI)
- 싱가포르 거주 한인 가정 어머니들의 아동 이중언어 관련 기대와 인식(2019. 공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KCI)
-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8. 단독). 아동학회지(KCI)
-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 현실치료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2018. 공동). 아동학회지(KCI)
- 어머니의 감사성향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2018. 공동). 아동과 권리(KCI)
-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Prosocial Behavior and Democratic Citizenship(2018. 공동).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and Applied Science
- 초기 청소년의 정서지능, 공격성,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및 대처태도 간의 관계(2017. 공동). 학교사회복지(KCI)
- 초기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2017. 공동). 조형교육(KCI)
- 적대적 반항장애를 동반한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 단계에서의 놀이주제 변화를 중심으로(2017. 단독). 아동학회지(KCI)
- 대학생의 자아분화 및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2016. 공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KCI)
- 유아용 단행본과 전집 그림책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 구전의도 및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6. 공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KCI)
- 자아강도, 실패내성 및 수행불안이 학령기 아동의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2016. 단독). 아동학회지(KCI)
- 서울시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시설 ‘아이존’에 대한 이용자와 연계기관 종사자의 인식-동대문구를 중심으로(2016. 공동). 아동과 권리(KCI)
- 부모의 지지와 통제 및 학교생활 적응이 남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16. 공동). 아동학회지(KCI)
- 예비 사회복지사의 인권의식 수준 및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복지 관련 전공 대학생과 타 전공 대학생 간 차이를 중심으로(2015. 단독). 학교사회복지(KCI)
- 자아강도와 학교 적응이 학령기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2015. 단독). 아동학회지(KCI)
- 숲 놀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2015. 공동). 한국영유아보육학(KCI)
-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를 중심으로(2014. 공동). 인문논총(KCI)
- 학교폭력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이야기그림검사(DAS) 반응특성 비교연구(2014. 공동). 미술치료연구(KCI)
- 자아 관련 변인들과 학교적응이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2014. 단독). 한국아동학회(KCI)
- 유아용 전집과 단행본 그림책에 대한 어머니의 선호와 상관 요인(2013. 공동). 아동과 권리(KCI)
-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2013. 공동).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KCI)
- 자아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2013. 공동). 아동학회지(KCI)
-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타당화 및 규준 연구(2013. 공동). 아동과 권리(KCI)
- 남녀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이성관계에서의 갈등해결전략 및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2011. 공동).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KCI)
-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2011. 공동). 아동과 권리(KCI)
<저서>
아동상담(2024. 공동). 북앤정
전생애 놀이치료(2021. 공동). 학지사
아동자아강도 검사(EST-C: Ego Strength Test-Child)(2015. 공동). 학지사심리검사연구소
아동안전관리(2018. 공동). 양서원 / 사회문제와 사회복지(2009. 공동). 대왕사
<학술대회 발표(2018년 이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지지가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2022. 공동).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어머니와의 애착안정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강도의 매개효과(2022. 공동).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go Strength, Stress Coping Style, Performance Anxiety, and School Class Adjustment by Gender (2019. 공동). 2nd Eurasian Conference on Educational Innovation 2019
싱가포르 거주 한인 가정 어머니들의 아동 이중언어 관련 기대와 인식(2018. 공동).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청년 1인가구의 정신건강(우울, 자존감)과 생활만족도(2018. 단독).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대회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8. 단독).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Ego Streng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of Latent Means and Path (2018. 공동). ISERD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Prosocial Behavior and Democratic Citizenship(2018. 공동). ISERD International Conference
<연구과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개발(아동상담: 놀이와 예술을 통한 어린이 마음치료). 교육부
발달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프로그램 개발 연구(2025. 공동). 국립장애인도서관
아동학대가정 재학대예방 지원사업 '홈케어플래너 서포터즈' 성과분석 연구(2019. 공동).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2016-2017. 책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학교폭력 관찰군 선별 및 청소년 공격성 연구(2014. 공동).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청
서대문구 학교폭력예방 창의인성교육 평화학교 프로젝트(2013-2014. 공동).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청
제 3기 동대문구 지역사회 복지욕구조사(2014. 공동).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청